투자마인드 5

투자마인드 #05

시가총액에 대한 마인드 장착하기 '23년 7월 17일 기준 삼성전자 시가총액은 약 437조, 주가는 73,300원 삼성전자 1% 주식을 사려면 약 4.37조 필요 코스닥 시가총액 1위 종목은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비엠 시가총액은 약 27조, 주가는 279,000원 삼성전자 주식 7%도 안되는 금액으로 에코프로비엠을 통째로 살 수 있는 상태 ## Comment 낮은 시가총액을 가진 종목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유망한 산업의 종목을 선정하고 지켜보면 투자가 들어오는 순서가 있다. 절대로 쉽지는 않겠지만 기관의 투자규모별 순서를 지켜보면 다음 Value를 얼만큼으로 생각해도 괜찮을지 힌트가 보인다. 그치만... 개미가 이것을 알게 될 가능성은.... ㅎㅎ

Study/Valuation 2023.07.18

투자마인드 #04

투자의 방식은 다양하고 개인별로 각자에 맞는 방식도 다르다. Top-Down 방식 - 거시경제(경제 및 산업 등)를 분석한 후 종목을 선정하는 방식 Bottom-Up 방식 - 종목을 선정하고 집중 분석하는 방식 맞고 틀리는 방식은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생각할 때 Top-Down의 방식인 거시경제에 대한 분석으로 시작한 종목 선정은 앞으로의 투자자로서 수명을 더 길게 만들어주는 느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ottom-up의 방식도 사용하게 되는데, 개인적으로 너무 좋아하는 브랜드가 있거나 하는 경우 종목을 선정한 상태로 집중 분석하기도 한다.

Study/Valuation 2023.07.07

투자마인드 #03

기초에 충실하게 최대한 간결하게 생각하기 E(Earning) = P(Price) x Q(Quantity) - C(Cost) E 증가 = P 증가, Q 증가, C 감소 (or 이거나 and 거나) P가 그대로인데 Q가 증가하는 건 광고가 잘 되었을 수도, 트렌드에 맞물렸을 수도 → 장기적일 수도, 단기적일 수도 Q가 그대로인데 P가 증가하는 건 최근 일본 방류로 인한 소금가격 상승 등의 경우 → 단기적일 가능성 多 P, Q가 그대로인데 C가 감소하는 건 금값이 떨어져 반도체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등의 경우 → 단기적일 가능성 多 요즘은 시장은 P, Q는 그대로인데 C가 증가했던 경우라고 생각된다. 섹터를 보고, 업종을 보고, 종목을 보자.

Study/Valuation 2023.06.22

투자마인드 #02

신규사업 없이 현재 사업을 유지하는 경우 시총 상위 종목의 어닝서프라이즈 → 박스권 유지 (주기적인 관심으로 어닝서프라이즈가 선반영) 시총 상위 종목의 어닝쇼크 → 큰 하락 (어닝서프라이즈가 반영된 주가가 어닝쇼크에 맞춰 반영) 시총 하위 종목의 어닝서프라이즈 → 큰 상승 (관심 없던 소외주에 "관심+실적" 반영) 시총 하위 종목의 어닝쇼크 → 박스권 유지 (어닝쇼크가 이미 반영되었다고 보아도 무방) 신규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있는 경우 시총 상위 종목의 어닝서프라이즈 → 상승 시총 상위 종목의 어닝쇼크 → 박스권 유지 or 상승 시총 하위 종목의 어닝서프라이즈 → 큰 상승 시총 하위 종목의 어닝쇼크 → 상승 시총 상위 종목 = 고벨류 or 대형주 시총 하위 종목 = 저벨류 or 소형주 분명 절대적일 수 ..

Study/Valuation 2023.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