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것은 없다?...막강한 지위 누리던 기축통화 ‘흔들흔들’ - 매일경제 (mk.co.kr)
영원한 것은 없다?...막강한 지위 누리던 기축통화 ‘흔들흔들’ - 매일경제
2022년말 58%로 뚝 러시아 금융제재 역풍 원유·가스 非달러 결제 달러 일극체제 무너질것
www.mk.co.kr
1. 정의
기축통화 [ Key Currency ]
[요약] 국제외환시장에서 금융거래 또는 국제결제의 중심이 되는 통화국제외환시장에서 금융거래 또는 국제결제의 중심이 되는 통화.
대표적으로 미국 달러가 이에 속한다. 기축통화로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군사적으로 지도적인 입장에 있어 전쟁으로 국가의 존립이 문제시되지 않아야 하며, 기축통화 발행국은 다양한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통화가치가 안정적이며, 고도로 발달한 외환시장과 금융 · 자본시장을 갖고 있어야 하며, 대외거래에 대한 규제도 없어야 한다. 역사적으로 영국의 파운드화, 미국의 달러를 기축통화로 부른다. 영국의 파운드화는 19세기 중반 이후 국제금융의 중심지로서 영국이 가진 강력한 세력을 배경으로 기축통화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으로 유럽 각국의 경제가 피폐해졌고, 미국은 전쟁 특수로 경제가 급성장하였다. 이후 미국의 경제력과 국력을 배경으로 미국 달러가 명실 공히 기축통화로 자리매김을 하였다. 최근 들어 미국 달러화에 대한 신인도가 예전과 같지 않는 등 기축통화로서의 지위가 흔들리고 있다. 기축통화인 달러화를 대신할 통화로 유로화, 중국 위안화 등이 후보로 거론되지만 기축통화로서의 조건인 신뢰도나 사용도 면에서 보면 아직도 미 달러화와 비교가 안 된다. 더욱이 중국은 환율을 통제하는 등 자유로운 거래라는 기축통화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2. 특징
- 안정성
기축통화는 경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대표하는 통화입니다. 일반적으로 경제력이 강하고 인플레이션 관리 및 통화정책이 안정적인 국가의 통화가 기축통화로 선택됩니다. - 국제 결제 수단
기축통화는 국제 상거래에서 흔히 사용되는 결제 수단입니다. 다양한 국가 간의 거래에서 기축통화는 중간 통화로 사용되어 환율 변동과 결제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환율 안정성
기축통화는 다른 통화들과의 환율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축통화로서의 역할을 가진 통화는 일반적으로 국제 환율 변동에 대한 영향력이 크며, 다른 통화들은 기축통화와의 환율에 연동될 수 있습니다. - 중앙은행의 역할
기축통화의 발행은 해당 국가의 중앙은행이 담당합니다. 중앙은행은 기축통화를 통해 통화량 조절, 환율 관리, 금리 결정 등의 역할을 수행하여 경제 안정을 유지하고 통화정책을 시행합니다.
## Comment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을 시작으로 서방에서 러시아를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결제망에서 퇴출시키자 이틈을 노린 중국이 러시아를 편에 서면서 위안화 비중이 늘어나고 심지어 러시아은행(러시아 중앙은행)은 위안화를 비축통화에 포함했다.
하지만, 시사경제용어사전에서도 말하듯 폐쇄적인 중국의 특성상 환율을 통제하는 등 자유로운 거래라는 기축통화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앞으로도 불가능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그러기에 기축통화가 변화하는 시기가 적어도 지금은 아니라는 생각이다.
'Study > 경제용어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지표] 기업가치 판단 지표 : PER, PBR, ROE, ROA, EPS, BPS (0) | 2023.06.22 |
---|---|
[경제용어] 금리의 영향력 : 경제와 개인 재정에 미치는 파급효과 (0) | 2023.06.21 |
[경제용어] 유상증자(Paid-in capital increase)가 뭐야? (0) | 2023.06.19 |
[주식차트]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가 뭐야? (0) | 2023.06.19 |
[투자지표] 현금흐름표 : 영업활동/투자활동/재무활동 현금흐름 (0) | 2023.06.18 |